베사 기관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사 기관총은 체코슬로바키아 ZB-53 기관총을 기반으로 영국에서 개발된 기관총으로, 7.92mm와 15mm 두 가지 구경으로 제작되었다. 7.92mm 버전은 1930년대 후반에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군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개량형이 생산되었다. 15mm 버전은 차량 탑재용으로 개발되어 험버 장갑차 등에 사용되었다. 1950년대에 7.92mm 버전은 구식으로 분류되었고, 15mm 버전은 1949년에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영국의 기관총 - 맥심 기관총
맥심 기관총은 하이럼 맥심이 1884년에 발명한 세계 최초의 실용적인 완전 자동 기관총으로, 반동을 이용한 자동 장전 방식, 높은 발사 속도, 수냉식 냉각 방식 등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국가에서 채택되어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현대 기관총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화기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화기 - 브라우닝 하이파워
브라우닝 하이파워는 존 브라우닝이 설계하고 벨기에군에 채택되어 높은 신뢰성과 실용성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복열 탄창과 짧은 반동 원리를 특징으로 하지만 설계 결함도 지적되는 단발 자동 권총이다. - 7.92 mm 기관총 - MG 08
MG 08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수냉식 중기관총으로, 맥심 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육군과 해군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과 항공기 탑재형으로도 활용되었고, 전후에는 중국에서 복제 생산되어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 7.92 mm 기관총 - MG 34
MG 34는 독일 국방군이 1930년대부터 사용한 7.92mm 다목적 기관총으로, 보병 지원, 전차, 대공용으로 활용되었으며 벨트 및 드럼 탄창 급탄 방식을 지원하고, MG42로 대체되었지만 종전까지 사용된 화기이다.
베사 기관총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차량용 기관총 |
원산지 | 체코슬로바키아, 영국 |
사용 국가 | 영국, 아일랜드, 이스라엘 |
사용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1947년-1949년 팔레스타인 전쟁 한국 전쟁 제2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레바논 내전 |
설계 및 생산 | |
설계자 | 바츨라프 홀레크 |
설계 년도 | 1936년 |
제조업체 | 버밍엄 스몰 암스 (The Birmingham Small Arms Company Limited) |
생산 기간 | 1939년–1945년 |
사용 기간 | 1939년–1960년대 |
총 생산량 | 7.92mm: 모든 변형을 합쳐 39,332정 15mm: 총 생산량 3,218정 |
제원 | |
구경 | 7.9mm |
탄약 | 7.92×57mm 마우저 |
급탄 방식 | 7.92mm: 225발 금속 링크 탄띠 15mm: 25발 링크 탄띠 |
작동 방식 | 가스 자동식 |
발사 속도 | 저속: 분당 450–550발 고속: 분당 750–850발 |
총구 속도 | 약 823m/s (2700 ft/s) |
무게 | 약 21kg (47 lb) (빈 상태) |
길이 | 약 1.1m (43.5 in) |
강선 | 4조 우선 |
총열 길이 | 약 73.6cm (29 in) |
변형 | |
변형 | Mark I (1939–1940) Mark II (1940–1943) Mark II* (1943) Mark III (1943–1951) Mark III* (1943–1952) Mark III/2 (1952–1966) Mark III/3 (1954–1966) 15mm 베사 Mark I (1939?–1949) |
2. 개발 및 사용
영국군은 전통적으로 소총과 기관총에 .303 영국탄 림드 탄약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개발된 ZB-53 기관총을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탄약 규격 문제가 발생했다. ZB-53은 독일의 7.92×57mm 마우저 림리스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영국은 이 기회에 림리스 탄약으로 전환하려 했으나, 전쟁이 임박하면서 전면적인 교체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BSA와 영국 공급부는 베사 기관총의 설계를 .303 영국탄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 기술적으로나 보급 측면에서 더 복잡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기존의 7.92mm 구경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에는 왕립 기갑군의 탄약 보급 체계가 이미 영국 육군의 다른 부대와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베사 기관총은 독일군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7.92mm 탄약을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필요시 노획한 독일군 탄약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다만, 탄약 벨트 자체는 호환되지 않아 포장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1937년 초, .303 영국탄 버전의 ZB-53 시제품이 영국 관리들에게 제시되어 성공적인 성능 시험을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소화기 위원회는 이미 긴급하게 도입이 진행 중이던 7.92mm 버전을 최종 채택하기로 결정했다.[5]
베사 기관총은 전쟁 중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Mark II, Mark III 등 후속 모델들이 개발 및 배치되었다.[6][7] 또한, 기존의 7.92mm 버전 외에도 더 강력한 화력을 제공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의 ZB-60 중기관총을 기반으로 한 15mm 구경 버전이 개발되어 일부 경전차와 장갑차에 탑재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영국군은 NATO 표준인 7.62mm 탄약을 채택하게 되면서 기존의 베사 기관총은 점차 브라우닝 M1919 기관총 등으로 교체되었다. 개량된 일부 후기 모델(Mark III/2, Mark III/3)은 1960년대 후반까지 사용되었다.
2. 1. 베사 7.92mm 기관총

영국군은 소총과 기관총에 .303 영국탄 림드 탄을 사용했지만, ZB-53은 독일의 7.92×57mm 마우저 탄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영국에서는 7.92mm로 표기했다. 당시 영국은 림드 탄에서 림리스 탄으로 전환하려 했으나, 전쟁이 임박하면서 전면적인 전환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BSA와 공급부는 0.303 탄에 맞게 설계를 변경하는 것이 산업적, 기술적, 공급상의 어려움이 크다고 판단하여 기존 7.92mm 구경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왕립 기갑군의 보급 체계가 이미 영국 육군의 다른 전투 부대와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국 생산을 위해 탄약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여겨졌다. 이러한 결정으로 베사 기관총은 독일군이 사용하는 탄약과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게 되어, 노획한 적의 탄약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었다. 다만, 탄약 벨트는 포장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5]
ZB-53의 Mk I과 달리, 버밍엄의 BSA에서 라이선스 생산된 Mark II 버전은 1940년 6월에 실전 배치되었다. 이 모델은 더 빠르고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으며, 근접전이나 목표물 집중 사격을 위한 빠른 발사 속도(분당 750~850발)와 장거리전이나 지역 제압 사격을 위한 느린 발사 속도(분당 450~550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1943년 8월에는 생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Mark II*, Mark III, Mark III*의 세 가지 단순화된 모델이 실전에 배치되었다. Mark II*는 새로운 단순화된 부품을 사용하면서도 Mark II와 호환성을 유지한 과도기적 모델이었다. 반면 Mark III와 Mark III*는 단순화된 부품을 사용하고 Mark II와는 호환되지 않았다. Mark III는 고정된 빠른 발사 속도(분당 750~850발)를 가졌고, Mark III*는 고정된 느린 발사 속도(분당 450~550발)를 가졌다.[6]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Mark III는 수리 과정에서 공장에서 Mk III*로 개조되기도 했다.[7]
초기 전시 버전인 Mark I, Mark II, Mark II*는 1951년에 구식으로 선언되었으며, 모든 Mark III 버전은 Mark III*로 개조되었다. 1952년에는 Mark III*를 기반으로 새로운 브래킷과 차체 덮개를 적용한 Mark III/2가 도입되었다. 이후 1954년에는 Mark III/2의 포신과 슬리브를 교체하고 가스 실린더의 가스 배출구를 더 크게 만들어 혼합된 탄약 벨트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한 Mark III/3가 도입되었다. 종전 후 개량된 Mark III/2와 Mark III/3는 1960년대 후반까지 사용되었다.
명칭 | 실전 배치 | 표시 |
---|---|---|
탄약 S.A. 보통탄 7.92 m/m Mark Iz | 1939년 5월 – 1941년 11월 | 보라색 환, 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보통탄 7.92 m/m Mark IIz | 1941년 9월 – 1966년 | 보라색 환, I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예광탄 7.92 m/m G Mark Iz | 1939년 10월 – 1941년 11월 | 빨간색 환, G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예광탄 7.92 m/m G Mark IIz | 1941년 9월 – 1945년 | 빨간색 환, GI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예광탄 7.92 m/m G Mark 3z | 1945년 4월 – 1966년 | 빨간색 환, G3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철갑탄 7.92 m/m W Mark Iz | 1941년 3월 – 1941년 11월 | 녹색 환, W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철갑탄 7.92 m/m W Mark IIz | 1941년 9월 – 1966년 | 녹색 환, WI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소이탄 7.92 m/m B Mark Iz | 1942년–1966년 | 파란색 환, BIZ 헤드스탬프 |
2. 2. 베사 15mm 기관총

기존 베사 기관총보다 더 크고 무거운 15mm 구경 버전은 체코슬로바키아의 ZB-60 중기관총을 기반으로 BSA에서 개발되었다. 전체 무게는 약 54.88kg이었고, 포신 무게만 약 22.91kg이었다.[8] 주로 차량 무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반자동 사격과 완전 자동 사격이 모두 가능했다.
1940년 6월 영국 육군에 정식 도입되어 경전차 Mk VIC형이나 험버 장갑차 Mk I부터 Mk III까지의 모델 등에 탑재되었다. 1949년 퇴역할 때까지 총 3,200정 이상이 생산되었다.[9]
이 기관총은 75g 무게의 탄두를 사용하는 15×104mm Brno 탄약을 사용했으며, 포구 속도는 818.3m/s에 달했고 분당 450발의 발사 속도를 가졌다.[10] 탄약은 25발들이 금속제 탄띠로 급탄되었는데, 이 때문에 지속적인 사격 능력에는 제한이 있었다. 또한 완전 자동 사격 시에는 명중시키기 어려워 실제 운용 시에는 주로 단발 사격 방식으로 사용되었다.[11]
3. 전후 운용 및 교체
제2차 세계 대전 후, 영국군 전차에 탑재되었던 베사 기관총은 구경을 NATO 표준인 7.62mm로 통일하기 위해, 미국에서 무기 대여법된 전차에 탑재되어 호평을 받았던 브라우닝 M1919 중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
4. 사용 탄약
베사 기관총은 주로 7.92×57mm 마우저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당시 영국 육군의 표준 소총 및 기관총 탄약이었던 .303 영국탄과는 다른 규격이었다.[5] 영국군은 기존의 .303 림드(rimmed) 탄약 대신 7.92mm 림리스(rimless) 탄약을 채택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이 임박하면서 전면적인 교체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왕립 기갑군을 중심으로 7.92mm 탄약을 사용하는 베사 기관총이 운용되었으며, 이는 기존 보급 체계와 일부 분리되어 관리되었다.[5] 상세한 7.92mm 탄약의 종류와 사용 배경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또한 구경 15mm의 대구경 버전도 존재했다. 이 기관총은 체코슬로바키아의 ZB vz.60 중기관총을 기반으로 BSA에서 개발되었으며, 무게는 57kg에 달했다. 단발 및 연발 사격이 가능했으며, 주로 Mk.VI 경전차 C형이나 험버 장갑차 마크 III와 같은 장갑차에 탑재되어 운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군 전차에 탑재되었던 베사 기관총은 NATO 표준 탄약인 7.62×51mm NATO탄을 사용하는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으로 점차 교체되었다.
4. 1. 7.92x57mm 베사 탄약
영국 육군은 당시 소총과 기관총에 .303 영국탄이라는 림이 돌출된 탄약(rimmed cartridge)을 사용했다. 반면, 베사 기관총의 원형인 ZB-53은 독일 제국에서 개발된 7.92×57mm 마우저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 탄약은 림이 없는 무돌연식(rimless cartridge)이었고 영국에서는 7.92mm 탄약으로 표기했다.[5]
영국군은 기존의 림드 탄약에서 림리스 탄약으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이 임박하여 전면적인 전환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BSA와 공급부는 베사 기관총의 설계를 .303 탄약에 맞추는 것보다 기존 7.92mm 구경을 유지하는 것이 기술적, 산업적, 보급상 어려움이 덜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왕립 기갑군의 탄약 보급 체계가 이미 영국 육군의 다른 부대와 분리되어 있었던 점도 영향을 미쳐, 결국 베사 기관총은 영국 생산을 위해 탄약 규격이 변경되지 않았다.[5]
베사 기관총은 독일군이 마우저 Kar98k 소총이나 MG34, MG42 기관총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7.92x57mm 탄약을 사용했기 때문에, 영국군은 노획한 독일군 탄약을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었다. 다만, 탄약 벨트 자체는 호환되지 않아 포장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영국에서 사용된 주요 7.92x57mm 베사 탄약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명칭 | 실전 배치 | 표시 |
---|---|---|
탄약 S.A. 보통탄 7.92 m/m Mark Iz | 1939년 5월 – 1941년 11월 | 보라색 환, 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보통탄 7.92 m/m Mark IIz | 1941년 9월 – 1966년 | 보라색 환, I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예광탄 7.92 m/m G Mark Iz | 1939년 10월 – 1941년 11월 | 빨간색 환, G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예광탄 7.92 m/m G Mark IIz | 1941년 9월 – 1945년 | 빨간색 환, GI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예광탄 7.92 m/m G Mark 3z | 1945년 4월 – 1966년 | 빨간색 환, G3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철갑탄 7.92 m/m W Mark Iz | 1941년 3월 – 1941년 11월 | 녹색 환, W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철갑탄 7.92 m/m W Mark IIz | 1941년 9월 – 1966년 | 녹색 환, WIIZ 헤드스탬프 |
탄약 S.A. 소이탄 7.92 m/m B Mark Iz | 1942년–1966년 | 파란색 환, BIZ 헤드스탬프 |
참조
[1]
서적
The Israeli Army in the Middle East Wars 1948–73
Osprey Publishing
1982-07-29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Korean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www.abc-clio[...]
ABC-CLIO
2018-11-15
[3]
서적
Israeli Elite Units since 1948
Osprey Publishing
1988-06-23
[4]
문서
"TK" from ''těžký kulomet'' "heavy machine gun"; "vz" from ''vzor'' "Model"
[5]
Youtube
Britain's Czech-made WW2 tank machine gun in.. .303? With Curatorial Assistant, Christian Wellard
https://www.youtube.[...]
YouTube
2023-03-01
[6]
웹사이트
BESA (Gun, Machine, 7.92mm, BESA)
http://www.militaryf[...]
2007-12-27
[7]
간행물
Illustrated Identification List
https://www.flickr.c[...]
[8]
서적
The BESA 15 mm Heavy Machine Gun
https://www.flickr.c[...]
BSA Guns
[9]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10]
웹사이트
British Tanks Equipment
http://www.btinterne[...]
2014-12-25
[11]
서적
Universal Tank: British Armour in the Second World War – Part 2
HMSO
[12]
웹사이트
http://www.militaryf[...]
2007-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